◎ 동사
1.동사란?
모든 동사는 기본형의 어미가 'う단(段)'으로 끝난다. 즉, [∼う(u), ∼く(ku), ∼ぐ(gu), ∼す(su), ∼つ(tsu), ∼ぬ(nu), ∼ぶ(bu), ∼む(mu), ∼る(ru)]로 끝난다.
예)買(か)う, 聞(き)く, 泳(およ)ぐ, 話(はな)す, 待(ま)つ, 死(し)ぬ, 遊(あそ)ぶ, 飲(の)む, かかる, 見(み)る, 寝(ね)る, する
2.동사의 종류
동사의 종류 |
내 용 |
|
1류동사 |
구별 방법 |
(1)먼저 동사의 어미가 [∼る]로 끝나지 않은
동사. |
동사의 예 |
買(か)う,
行(い)く,
泳(およ)ぐ,
話(はな)す,
持(も)つ, 死(し)ぬ, 遊(あそ)ぶ, 読(よ)む, |
|
예외 |
帰(かえ)る:돌아가(오)다,
入(はい)る:들어가(오)다 |
|
2류동사 |
구별 방법 |
(1)반드시 '∼る(ru)'로 끝난다. |
동사의 예 |
見(み)る, 起(お)きる, 着(き)る, 借(か)りる, 落(お)ちる, できる, 降(お)りる |
|
3류동사 |
来る(오다), する(하다) ※2개의 동사밖에 없다. |
3.동사의 활용
[∼ます(∼합니다)]가 접속할 때 어미가 바뀌는 형태를 말한다.
(1) 1류동사 - [ます]가 이어질 때, [u]음이 [i]음으로 바뀌므로 [∼ⓘます형]이라 한다.
예)いく(ku)→いき(ki)ます, かう(u)→かい(i)ます, よむ(mu)→よみ(mi)ます
(2) 2류동사 - 어미 [る]가 탈락하고 [ます]가 접속한다.
예)おきる→おきます, はじめる→はじめます, ねる→ねます, みる→みます
(3) 3류동사 : ①来(く)る→来(き)ます, ②する→します
▶[ます형]에 접속하는 말 - [∼たい(∼하고싶다)], [∼ながら(∼하면서], [∼に(∼하러)], [∼そうだ(∼할 것 같다)] 등이 있다.
▶[ます형]의 특수한 용법
①동사의 중지법(中止法) - 글이나 말을 일단 중지하고 다시 이어지게 하는 용법으로 동사를 [ます형]으로 고친 다음 [、]를 찍으면 [∼하고]의 뜻이 된다.
예)花(はな)が咲(さ)き、鳥(とり)が
鳴(な)いて
います。(꽃이 피고, 새도 울고 있습니다.)
風(かぜ)が
吹(ふ)き、雨(あめ)も
降(ふ)って
います。(바람이 불고, 비도 내리고 있습니다.)
②전성명사 - 동사가 [ます형]으로 바뀌어 그대로 명사로 전성되어 쓰이는 것을 말한다.
예)休(やす)み 휴일, 考(かんが)え 생각, 帰(かえ)り 돌아오는
길, 笑(わら)い 웃음, 喜(よろこ)び 기쁨
고어(古語)에서는 [て형]과 [ます형]은 어미변화가 동일했으나, 오늘날에는 [1류동사]의 경우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音便(おんびん) 현상이 생겨, 다음과 같이 3가지의 형태로 쓰이고 있다.
종류 |
[∼て(∼하고), ∼た(∼하였다), ∼たり(∼하기도하고), ∼たら(∼하면)]가 접속할 때 |
|
い음편 |
동사의 형태 |
동사의 어미가 [∼く, ∼ぐ]로 끝나는 동사 |
예문 |
①かく→かいて、きく→きいて |
|
例外 |
行く→行って(○)、行く→行いて(×) |
|
っ음편 |
동사의 형태 |
동사의 어미가 [∼う, ∼つ, ∼る]로 끝나는 [u동사] |
예문 |
いう→いって、まつ→まって、のる→のって |
|
ん음편 |
동사의 형태 |
동사의 어미가 [∼ぬ, ∼ぶ, ∼む]로 끝나는 동사 |
예문 |
しぬ→しんで、あそぶ→あそんで、よむ→よんで |
|
음편이 없는 동사 |
①[∼す]로 끝나는 [1류동사] 예)はなす→はなして |
[∼ない(∼하지 않다)]가 접속할 때 어미가 바뀌는 형태를 말한다.
(1) 1류동사 - [ない]가 이어질 때, [u]음이 [a]음으로 바뀌므로 [∼ⓐない형]이라고 암기한다.
예)いく(ku)→いか(ka)ない, のる(ru)→のら(ra)ない, よむ(mu)→よま(ma)ない
▶예외 - かう→かわない ([う]로 끝나는 동사는 [ない]가 접속할 때 [わ]로 바뀜)
(2) 2류동사 - [ない]가 이어지면서 어미 [る]가 탈락한다.
예)おきる→おきない, はじめる→はじめない, ねる→ねない, みる→みない
(3) 3류동사 : ①来る→来(こ)ない, ②する→しない
▶[ない형]에 접속하는 말 : [∼れる(られる)], [∼せる(させる)] 등이 있다.
▷의미 : ∼하겠다, ∼하자, ∼일 것이다.
▷접속 : [∼う]는 1류동사에, [∼よう]는 2류동사, 3류동사에 접속한다
(1) 1류동사 - [う]가 이어질 때, [u]음이 [o]음으로 바뀌므로 [∼ⓞう형]이라고 암기한다.
예)いく(ku)→いこ(ko)う, のる(ru)→のろ(ro)う, よむ(mu)→よも(mo)う
日本語の
本を
買おうと
思って
います。(일본어 책을 사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)
(2) 2류동사 - [よう]가 이어지면서 [2류동사]는 어미 [る]가 탈락한다.
예)おきる→おきよう, はじめる→はじめよう, ねる→ねよう, みる→みよう
いっしょに
テレビを
見ようよ。(함께 텔레비전을 보자)
(3)3류동사 : ①来る→来(こ)よう, ②する→しよう
[∼ば(∼하면)]가 접속할 때 어미 변화가 된 형태를 말하는데, 이는 동사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동사의 마지막 음이 [e음(え단)]으로 바뀌고 [ば]가 붙는다. [∼ⓔば]
(1) 1류동사 - 예)いく(ku)→いけ(ke)ば, のる(ru)→のれ(re)ば, よむ(mu)→よめ(me)ば
(2) 2류동사 - 예)おきる→おきれば, はじめる→はじめれば, ねる→ねれば, みる→みれば
(3) 3류동사 : ①来る→
来(く)れば, ②する→すれば
[ます형], [ない형], [う(よう)형], [ば형]이라고 하는 용어들은 같은 어미변화를 하는 그룹의 말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그 대표성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. |
말을 마칠 때 쓰이거나 명사에 연결될 때 쓰이는 형태를 말한다. 말을 마칠 때 쓰이는 경우는 "종지형", 명사를 수식할 때 쓰이는 경우는 "연체형(連体形)"이라고 하기도 한다.
▶기본형에 접속하는 말 : [∼と(∼하면), ∼けれども(∼지만), ∼が(∼인데), ∼から(∼하기 때문에), ∼し(∼하고), ∼らしい(∼할 것 같다), ∼ようだ(∼할 것 같다), ∼そうだ(∼라고 한다)]등이 있다.
4.동사의 구분
동사에는 가능동사, 자동사와 타동사, 보조동사 등이 있다.
가능동사란 "1류동사"의 활용어미를 같은 행의 [え단]으로 고치고 [る]를 붙인 형태로, [∼할 수 있다]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를 말한다. 즉, 1류동사만 가능동사로 고칠 수 있다.
▶동사의 가능 표현
(1) 동사 종류별 가능 표현
① 1류동사 : 어미를 [え단 + る] 즉, [∼ⓔる]로 바꾼다.
예)会(あ)う→会える, 書(か)く→書ける, 話(はな)す→話せる, 読(よ)む→読める
② 2류동사 : 2류동사에는 'る'를 빼고 [∼られる]를 붙인다.
예) 見(み)る→見られる, 起(お)きる→起きられる, 食(た)べる→食べられる, 寝(ね)る→寝られる
③ 3류동사 : ①来る→来(こ)られる, ※ ②する→できる
(2) 모든 동사의 기본형+ことができる
① 1류동사 : 会う→会うことができる, 書くことができる, 話すことができる
② 2류동사 : 見る→見ることができる, 起きることができる, 食べることができる
③ 3류동사 : 来ることができる, することができる
※가능동사가 되면 자동사가 되므로 목적격 조사 [を]를 쓰지 않고 조사 [が]를 사용한다.
예)カタカナを 読みます。→ カタカナが 読めます。(가타카나를 읽을 수 있습니다.)
= カタカナを 読む ことが できます。
2)자동사와 타동사
자동사는 주어 자신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동사를 말하며, 타동사는 주어가 다른 것에게 작용을 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를 말한다.
(1)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
①어간이 같은 동사에서는 대개 [1류동사]는 자동사, [2류동사]는 타동사이다.
集まる(모이다) ー 集める(모으다) |
開く(열리다) ー 開ける(열다) |
始まる(시작되다) ー 始める(시작하다) |
かかる(걸리다) ー かける(걸다) |
決まる(정해지다) ー 決める(정하다) |
下がる(내려가다) ー 下げる(낮추다) |
閉まる(닫히다) ー 閉める(닫다) |
上がる(오르다) ー 上げる(올리다) |
止まる(멈추다) ー 止める(세우다) |
立つ(서다) ー 立てる(세우다) |
泊まる(숙박하다)ー 泊める(숙박시키다) |
育つ(자라다) ー 育てる(키우다) |
続く(계속되다) ー 続ける(계속하다) |
並ぶ(줄을 서다) ー 並べる(늘어놓다) |
②기본형의 어미가 [∼す]로 끝나면 모두 타동사이다.
起きる(일어나다) ー 起こす(일으키다) |
消える(꺼지다) ー 消す(끄다) |
出る(나가다) ー 出す(내다) |
直る(고쳐지다) ー 直す(고치다) |
渡る(건너다) ー 渡す(건네다) |
残る(남다) ー 残す(남기다) |
③자동사라 하더라도 그 동사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나타낼 때는 조사 [∼を]를 사용한다.
예)家を
出る。(집을
나가다.)
バスを
降りる。(버스를
내리다.)
席を
立つ。(자리를
뜨다.)
空を
飛ぶ。(하늘을
날다.)
川を
渡る。(강을
건너다.)
山を
登る。(산을
오르다.)
(2)상태와 진행
①自動詞
㉠자동사 + て いる : 상태(∼하여져 있다.)
예)窓が
閉まって
います。(창문이 닫혀져 있습니다.) - 자연적인 결과
㉡자동사 + て いる : 진행(∼하고 있다.)
예)雨が
降って
います。(비가 내리고 있습니다.)
②他動詞
㉠∼を 타동사 + て いる : 진행(∼하고 있다) 예)窓を 閉めて います。(창문을 닫고 있습니다.)
㉡∼が 타동사 + て ある : 상태(∼하여져 있다)
예)窓が
閉めて
あります。(창문이 닫혀져 있습니다.) - 인위적인 결과
(1)나 자신뿐만 아니라 나와 가까이에 있는 사람(나의 가족, 나의 친구)이 남에게 줄 때
①やる : (나의 자식, 동생, 친한 남자끼리, 동 식물 등에게) 주다. 남의 자녀나 친구 동생에게는 쓸 수 없으며, 이 때는 [あげる]를 쓴다.
예) 妹に
本をやる。(여동생에게 책을 주다.) 花に
水を
やる。(꽃에 물을 주다.)
②あげる : (내가 또는 제3자끼리) 주다, 드리다
예)山田さんに
時計を
あげました。(야마다씨에게 시계를 주었습니다.)
山田さんが
キムさんに
本を
上げました。(야마다씨가 김(동훈)씨에게 책을 주었습니다.)
③さしあげる : ([あげる]보다 정중한 표현으로 손윗사람에게) 드리다
예)先生に
お土産を
さしあげました。(선생님에게 선물을 드렸습니다.)
(2)남이 나 자신뿐만 아니라 나와 가까이에 있는 사람(나의 가족, 나의 친구)에게 줄 때
①くれる : (남이 우리에게 속한 사람에게) 주다
예)田中さんが
私に
ネクタイを
くれました。(다나카씨가 나에게 넥타이를 주었습니다.)
②くださる : (남이 우리에게 속한 사람에게) 주시다
예)先生が
私に
日本語を
教えて
くださいました。(선생님이 나에게 일본어를 가르쳐 주셨습니다.)
(3)받다
[∼に ∼て もらう(いただく)]라는 표현은 우리말로 직역하면 [∼에게 ∼해 받다]라는 뜻이지만, 이 때는 [∼가 ∼해 주다]라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.
①もらう : (다른 사람으로부터) 받다
예)田中さんから
この
セーターを
もらいました。(다나카씨로부터 이 스웨터를 받았습니다.)
この
手紙は
田中さんに
書いて
もらいました。(이 편지는 다나카씨가 써 주었습니다.)
②いただく : (윗사람으로부터) 받다
예)先生に
この
本を
いただきました。(선생님으로부터 이 책을 받았습니다.)
山本さんに
本を
貸して
いただきました。(야마모토씨가 책을 빌려 주셨습니다.)
※[もらう(いただく)]앞에 쓰이는 조사 [に]는 [から]와 바꾸어 쓸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