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1)탁음

탁음(濁音)이란 발음할 때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(有聲) 자음이다. 우리말의 [가, 자, 다, 바]의 자음은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다. 그러므로 탁음을 발음할 때는 성대의 진동이 일어나도록 발음하는 것이 중요하다.

ga

gi

gu

ge

go

が행은 우리말의 어중의 [ㄱ]과 비슷하다. 예를 들면 [が]는 [아가]의 [가]와 발음이 비슷하다. 우리말 어두에 나오는 [ㄱ]은 [か]행과 비슷하므로 주의해야 한다. 즉, [고고학]은 [kogohak]으로 발음된다. 따라서 [が, ぎ, ぐ, げ, ご]를 발음할 때는 [(으)が, (으)ぎ, ...] 등과 같이 [으]를 짧게 넣어 발음하면 거의 정확하다.

예) がっこう(학교), ぎんこう(은행), ぐあい(상태), げんき(건강), ごはん(밥)

dza

dʒi

dzu

dze

dzo

「ざ, ず, ぜ, ぞ」는 어두에서는 혀끝이 잇몸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마찰이 일어나는 발음이다. 즉 혀끝을 잇몸에 대고 우리말의 '자, 즈, 제, 조'라고 발음한다.「じ」는 혀가 경구개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마찰이 일어나는 발음이다. 어중에서는 [d]가 빠진 [za], [ʒi], [zu], [ze], [zo]로 발음된다. 즉, 혀가 입천장에 넓게 닿지 않은 상태에서 발음이다.

예) ざっし(잡지), じかん(시간), ずっと(훨씬), ぜひ(꼭), かぞく(가족)

da

dʒi

dzu

de

do

だ행 중에서 [だ, で, ど]는 우리말의 어중에 나오는 [ㄷ]과 같으므로 어두에 올 때는 [だ, で, ど]앞에 짧게 [으]를 넣어서 발음해야 한다. [ぢ]와 [づ]의 실제 발음은 [じ, ず]와 같다.

예) だいがく(대학교), ちぢむ(줄다), つづく(계속되다), でんわ(전화), どこ(어디)

ba

bi

bu

be

bo

ば행 역시 우리말의 어중에 나오는 [ㅂ]과 같으므로 어두에 올 때는 ば행 앞에 짧게 [으]를 넣어서 발음한다.

예) ばん(밤), びっくり(깜짝 놀람), ぶんか(문화), べんとう(도시락), ぼく(나)

(2)반탁음(半濁音)  -  

 

pa

pi

pu

pe

po

ぱ행의 자음은 우리말의 [ㅍ]에 가깝게 발음되며, 촉음이나 발음 다음에 올 때는 [ㅃ]에 가깝게 발음되기도 한다.

예) しんぱい(걱정), えんぴつ(연필), きっぷ(표), ぺらぺら(술술), さんぽ(산책)

 

anired12_back.gif